1. 라이브커머스 시대 2.PLCC 성공비결 trend_lite 20-029👀 01 커머스 #살아있네 - 본격 라이브 커머스 시대 02 PLCC 성공비결 - 금융과 커머스의 콜라보! 03 지난주 뉴스TOP5 - '현카 부회장이 이베이에 감사편지를 쓴 이유는?' 外 [출처 : 블로터] 01 커머스 #살아있네 - 본격 라이브 커머스 시대 아마존 너마저... 라이브 커머스, 요새 유통가의 최대 화두 중 하나인데요. 너도 나도 라이브 커머스를 한다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 시장의 특수성 때문에 잘 된거지, 우리나라에서도 과연 잘될까라는 의심스런 시선이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티몬처럼 일찌감치 라이브 커머스를 도입했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회사가 아직 없기도 하고요. 하지만 라이브 커머스가 정말 피할 수 없는 대세는 맞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이커머스 끝판왕 아마존이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선언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은 인플루언서 스트리밍 서비스인 '아마존 라이브'를 선보였습니다. 우리나라의 홈쇼핑과 유사한 모델이 될 거라고 하는데요. 이는 유튜브의 브랜드커넥트, 페이스북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등 인플루언서 방송과 직접 경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아마존이 이미 트위치를 운영한 경험을 살려 실시간 소통하는 기능도 강화한다고 하네요. 라이브 커머스는 이미 예전부터 주목받긴 했지만, 중국말고는 아직 규모감 있게 성장한 사례가 없긴 했는데요. 이번 아마존 라이브 출시가, 라이브 커머스를 하려고 하는 국내 기업들에게도 좋은 롤모델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존이 하면 나도 한다 (feat. 쿠팡) 이러한 아마존의 움직임에 가장 영향을 받을 곳은 아마 찐아마존바라기 쿠팡! 이미 지난주 뉴레에서 쿠팡이 싱가포르의 OTT업체인 훅을 인수했다는 소식은 전해 드린바 있는데요. 이러한 쿠팡의 뜬금 없는 OTT업체 인수도 알고 보면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런칭을 위한 포석이라는 의견도 등장했습니다. [출처 : 비즈니스워치] 자세히 들여다보면, 쿠팡은 훅의 서비스를 인수한 게 아니라, 소프트웨어 사업 부문을 인수했는데요. 이러한 기술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최근 대세인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노리는 게 아니냐는 의견입니다. 이미 레드오션에 가까운 라이브 커머스 하지만 쿠팡이 라이브 커머스에 진출 하지 않는다고 해도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이미 라이브 커머스 경쟁이 본격화된 모양새입니다. 최근에도 롯데온이 라이브 커머스 '온 라이브'를 런칭했는데요. 그 이전에도 네이버의 셀렉티브, 스타일쉐어의 스쉐라이브 등 수많은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들이 시장에 등장하였습니다. 그립이나 소스라이브 등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들도 영역을 넓혀가고 있기도 하고요. 이러한 라이브 커머스는 알고 보면, 이미 홈쇼핑이라는 포멧으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사업 모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 때 모바일 홈쇼핑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하기도 했고요. 하지만 아직 이거다 할 수 있는 성공모델이 딱히 없기도 했는데요. 이번 아마존의 라이브 커머스 진출을 계기로, 확실히 대세임은 증명한 라이브 커머스. 이제 슬슬 성공모델이 나올 시점인 것 같습니다. [출처 : 이베이코리아] 02 PLCC 성공비결 - 금융과 커머스의 콜라보 PB도 좋지만, 그 못지 않은 PLCC 지난주 뉴레 TOP5 뉴스에서 가장 윗 줄에 있던, 현대카드 부회장이 이베이코리아에 감사편지 쓴 이유라는 기사 기억나시나요? 현대카드와 이베이코리아가 협력하여 만든 PLCC 스마일카드 출시 2주년을 맞이하여 많은 분석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PLCC는 Private Label Credit Card의 약자로 우리 말로 상업자 표시 전용카드라고 합니다. 주로 유통업체가 카드사와 협력하여 발급하여, 전용 혜택을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 뭔가 어디서 많이 들어본 거 같지 않나요? PB(Private Brand)나 PL(Private Label)상품과 이름부터 딱 비슷하죠? 비슷한 이름처럼 PLCC도 PB상품처럼 충성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온라인 쇼핑 시대에 접어들어 점차 결제가 더욱 중요해진 시대에 주목 받는 서비스이기도 합니다. 현대카드 직원이지만 이베이로 출근합니다 특히 이제 막 만 2년이 된 스마일카드는 국내 대표적인 PLCC 성공 사례로 손꼽히고 있는데요. 이러한 성공의 비하인드에는 두 회사 간의 아주 밀접한 협업이 있었다고 합니다. 아직도 현대카드 담당자가 주 1회 정도는 이베이코리아로 출근하고요. 직원들이 같이 워크샵을 갈 정도로 원팀으로 일을 하면서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스마일 카드가 성공한 이유는 우선 PLCC 특유의 파격적인 혜택이 한몫 했는데요. 적립금액이 무제한이고, 적립율은 이베이코리아 관계사에서 결제할 수록 커진다는 것. 또한 간편 결제인 스마일 페이와 결합하여 더 파급력이 커졌습니다. 이러한 생태계 구축은 이베이코리아가 몇년간 주춤했지만, 그래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할 수 있던 원동력이기도 했고요. 또한 온라인스러운 카드를 만든 것도 성공비결인데요. 발급과정을 최대한 간소화하여 사용자 경험에 엄청 신경을 썼는데요. 이는 현대카드가 평소 잘 챙기지 못했던 부분으로, 온라인 플랫폼인 이베이코리아와 협업하여 얻을 수 있었던 지점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이번 스마일카드는 양사 모두에게 윈윈하는 결과를 낳았던 겁니다. 금융과 커머스의 콜라보 주요한 경쟁포인트가 될 수 있을까? 최근 이러한 스마일카드 사례처럼 금융과 커머스의 콜라보는 또다른 경쟁 포인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페이나 네이버 통장 등을 스마트스토어 등 자사의 커머스 서비스 중심의 생태계에 녹여내고 있고요. 쿠팡은 쿠페이라는 자회사를 분사하였습니다. 또한 토스같은 핀테크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커머스 기업과의 협업을 구애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코로나 이슈로 인기 카드 순위에서도 여행이나 항공 혜택을 주던 기존 카드가 아닌 커머스 할인 혜택을 주는 카드가 각광받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금융사 입장에서도 커머스와의 협업은 필수가 되어가고 있지요. 따라서 이번 스마일 카드 같은 PLCC도 이커머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03 지난 주 뉴스 TOP5 - 꼭 읽었으면 하는 뉴스만 골라봤어요! : 한물 간 비즈니스 모델로 여겨졌던 소셜커머스로 알리바바를 위협하는 핀둬둬의 성공비결은? : 지그재그를 중심으로 한 여성의류 소호몰 마케팅의 역사를 한번 배워 봅시다! : 코로나 이후 변화하는 미국 리테일 시장, 특히 오프라인 매장들은 변신 중! : 자급제폰을 넘어서, 업계 최초로 통신사까지 포함하여 비교 가능한 게 장점입니다- : 이미 스타트업 투자 큰 손 중 하나였던 GS 홈쇼핑이 이번에는 블록체인까지 투자한다네요- |
Curated Trend, Essential Insight